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집단 간 갈등상황에서 외집단의 공감 메시지가 대상의 분노 및 집단 간 회피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role of ingroup/outgroup membership of the empathizer in intergroup empathy: Emotional and behavioral consequences on the part of the target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22, v.36 no.3, pp.187-207
https://doi.org/10.21193/kjspp.2022.36.3.002
정진오 (성균관대학교)
최훈석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집단 간 갈등상황에서 외집단 구성원으로부터 공감을 받는 것은 오히려 공감 대상자의 분노 정서를 증가시킨다는 가설을 실험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1(N = 246)은 회사에서 성별에 따른 차별을 경험한 남성 또는 여성 표적에게 여성(외집단) 또는 남성(내집단)이 대화 메시지를 전달하는 상황을 구성하여 메시지 전달자의 집단 소속(내집단/외집단)과 메시지 내용(공감표현/통제)에 따라 대상자의 분노 수준이 달리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설과 일관되게 외집단 구성원으로부터 공감을 받았을 때, 내집단 구성원으로부터 받았을 때보다, 해당 메시지 수신 후 분노 수준이 높았다. 반면에, 메시지에 공감표현이 없는 통제조건에서는 분노 수준에서 메시지 전달자의 내/외집단 소속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연구 2(N = 158)는 외집단 공감이 대상자에게 촉발하는 분노 수준이 외집단과의 상호작용을 회피하려는 의도를 예측하는 매개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내/외집단 공감이 분노 수준을 매개로 외집단 회피의도를 예측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집단 간 갈등 및 집단 간 공감과 관련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장래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keywords
Empathy, target of empathy, empathy backfire, intergroup relations, intergroup empathy, 공감, 공감 대상, 공감의 역효과, 집단 간 관계, 집단 간 공감

Abstract

The current research examined the effects of the empathizer’s group membership on the emotional experience and intergroup behavior intention on the part of the empathized in an intergroup conflict situation. We manipulated ingroup versus outgroup empathy using a scenario in which a female(male) target person is being empathized by an ingroup(female/male) versus outgroup member(male/female) after experiencing gender discrimination at work. We also included a control condition in which either an ingroup or an outgroup member delivered a message that did not include empathetic contents. Drawing on previous research that suggests negative consequences of outgroup empathy, we hypothesized that, as compared to ingroup empathy, outgroup empathy would lead to a higher level of anger. In a study that employed a total of 246 Korea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 found that empathy by an outgroup member evoked a higher degree of anger than did empathy by an ingroup member. By contrast, the empathizer’s group membership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the control condition. We replicated these findings in Study 2 that involved a total of 158 Korean male and female workers in business organizations. Further, we found, as expec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athizer’s group membership and the target’s intergroup behavior intention was mediated by felt anger after empath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in research on intergroup conflict and empathy along with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Empathy, target of empathy, empathy backfire, intergroup relations, intergroup empathy, 공감, 공감 대상, 공감의 역효과, 집단 간 관계, 집단 간 공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